git clone 하기
#1. 기존 저장소를 clone 하기
다른 프로젝트에 참여하려거나 git 저장소를 복사하고 싶을 때 git clone 명령을 사용한다.
이는 SVN의 checkout과 유사하지만, SVN의 checkout은 중앙저장소의 최종 스냅샷만을 받아오고, git clone 을 실행하면 프로젝트의 모든 히스토리를 받아온다.
$ git clone http://XXX.XXX.XXX.XXX:port/DevOps/gitsample.git
이 명령은 gitsample이라는 디렉토리를 만들고 그 안에 .git 디렉토리를 만든다. 그리고 저장소의 데이터를 모두 가져와서 자동으로 가장 최신 버전을 checkout 해 놓는다.
우리는 명령어 대신 IDE를 사용하여 git clone을 한번 해보도록 하자.
잠깐의 클론작업이 끝나면 Intellij 에 gitsample이라는 프로젝트가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물론 지정한 디렉토리에 clone한 모든 소스와 함께 .git 디렉토리도 생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2. Maven 환경 설정 하기
프로젝트 불러오기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maven 프로젝트에서 의존성 라이브러리들을 로딩하려 할텐데, 일단 maven 저장소 위치부터 바꿔주자.
Ctrl + Alt + S 혹은 File > Settings 메뉴로 들어가서 Build, Execution, Deployment > Build Tools > Maven 으로 진입한 후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는 User settings file, Local repository 를 아래와 같이 변경해 준다. (저장소의 이름은 아무래도 상관없다. 다만 여러 프로젝트의 라이브러리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분리하여 관리하는 것이 좋다.)
자, 이제 프로젝트 개발을 위한 모든 준비가 끝났다.
to be continued......